본문 바로가기

책 리뷰

'부자가 되는방법' 알려줘도 안하는 이유_클루지1편

자청이 추천해 준 '클루지'가 뭐길래


자수성가 청년 '자청'이 추천해 준 책 5가지가 있다. 클루지, 지능의 역설, 정리하는 뇌, 욕망의 진화, 뇌-욕망의 비밀을 풀다. 이렇게 5가지인데, 그중에 클루지가 많이 거론되는 것 같아서 클루지를 먼저 읽었다. 클루지를 읽을 생각은 없었다. 유튜브로 요약해놓은 것을 보면 아 이런 내용인데 과연 도움이 될까? 하는 의문점이 생겼기 때문이다. 그런데 자청이 하는 말 중에, '부자가 되는 방법 알려줘도 못할걸? 어차피 너 안 할 거잖아' 약간 이런 뉘앙스의 내용이 있다. 그래서 오기가 생겨서 5권의 책을 다 구입했다.(그 외 여러 가지 책들도 같이 구입했다.)

그래서 클루지를 읽게 됐는데 처음에는 정말 재미없었다. 도움도 하나도 안되는 것 같고 내가 이거를 읽어서 도움이 될까? 싶은 내용만 주구장창 나오는 것 같았다. 이럴 때마다 또 자청이 했던 말이 생각났다. 책을 읽을 때 중간에 그만두는 짓은 미련한 짓이다. 그냥 그 부분을 넘어가고 책을 전체를 읽으려고 노력해라. 그래서 책을 끝가지 읽으려고 노력한 것도 읽고, 나는 책을 처음 필 때 목차부터 보는데 목차 마지막쯤에 '해결 방법'이 나와있어서 '아 이 부분은 나에게 도움이 되겠구나'싶어서 지쳐도 끝까지 읽었다. 중간에 '선택'에 관한 부분은 조금 흥미 있게 읽은 것 같다.

책 내용을 전체적으로 요약하면 초반에는 우리는 클루지(약간 불완전하다 이런 느낌이다.)스러운 것들로 가득하다. 그리고 중후반은 클루지스러운 것들의 종류는 이러이러한것(확증편향, 정신적 오염, 닻 내림, 틀 짜기, 부적절한 자기통제, 반추의 순환, 초점 맞추기 착각, 동기에 의한 추론, 잘못된 기억, 제한된 정신능력, 애매한 언어 체계, 정신장애에 대한 취약성[내가 모두 이해하지는 못했다.])들이 있다. 극 후반에는 그래서 우리가 클루지를 극복하려면 이러이러하게 행동하는 게 좋을 것 같다. 이게 짧게 요약하면 이 책의 요약이다.


클루지 극복의 첫 번째 제안은 '대안이 되는 가설들을 함께 고려해라'이다. 내가 관심이 없는 것에도 관심이 필요하고, 그것이 '선택'을 '잘'할 수 있게 도와준다는 내용.

두 번째 제안은 '문제의 틀을 짜고 질문을 재구성하라'이다. 이 비누는 94프로 순수한가?6퍼센트 유해한가? 한 가지의 시선으로만 바라보지 말라는 얘기다. 문제를 볼 때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갖춰야 나의 편향된 사고를 교정시킬 수 있다.

세 번째 제안은 '상관관계가 곧 인과관계가 아님을 명심하라'이다. '발이 크면 클수록 더 똑똑하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은 발이 크면 클수록 더 똑똑한 머리를 가지고 있다는 말이 아니다. 그냥 아이는 발이 작고 성인은 발이 커서 더 똑똑하다는 말이다. 그런데 이 말을 가지고 발이 크면 클수록 더 똑똑한 머리를 가지고 있다고 잘못 해석하는 일도 생기니 조심하라는 말이다.

네 번째 제안은 '우리가 가진 표본의 크기를 절대 잊지 말라'이다. 표본은 크면 클수록 정확도가 높아진다. 그런데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예를 들어 주식 같은 경우 사소한 것들로 어떤 것들에 대한 이유를 들으려고 한다. 어느 주식이 떨어졌는데 어떤 것의 결과이지 않을까,라고 추측한다. 이렇게 표본이 작은데 사람들은 믿는다. 이것을 조심해라.

다섯 번째 제안은 '자신의 충동을 미리 예상하고 앞서 결정해라'이다. 충동적인 결정을 하기 전에 미리 마트에서 무엇을 살지 정하고 가서 그것만 사라는 이야기다. 이걸 또 곧이곧대로 해석하면 안 되고 이렇게 활용하라는 말이다.

여섯 번째 제안은 '막연한 목표만 정하지 말고 조건 계획을 세워라'이다. x 이면 y이다 형식으로 바꿔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체중을 줄이겠다"보다 "햄버거를 먹으면 야채를 먹겠다." 뭐 이런 식으로 활용하면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고 한다.

일곱 번째 제안은 '피로하거나 마음이 산란할 때는 되도록 중요한 결정을 내리지 마라'이다. 우리들은 불완전해서 정신적인 것들이 신체적인 것들의 영향을 받는다. 중요한 결정은 신체가 건강할 때 내리는 것이 합리적인 결정을 내리는데 효과적이다.